주요사업
에이즈 감염인지원사업
- 홈
- 주요사업 >
감염인 지원을 통해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 있습니다.
사업배경
소외 취약계층인 에이즈 감염인 지원을 통한 감염인의 사회구성원으로의 통합 유도 |
감염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해소 홍보를 통한 감염인과 비감염인이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여건 조성 |
에이즈 감염인 복지 증진 |
사업내용
종합 상담 사업
개인대면상담, 집단상담, 전화상담, 온라인상담
건강 증진 사업
건강보조실, 건강증진실 운영
감염인 자활지원 사업
- 감염인 자활 - 리더십프로그램, 간병사업, 재가복지프로그램, 동료상담
- 감염인 능력개발지원 - 직업 재활 프로그램, 감염인 강사 양성, 자활활동가 양성
- 감염인 자조모임 지원 - 감염인 모임 지원, 감염인 국제대회 참가 지원
인권증진 사업
인권과 에이즈 교육, 법률상담 프로그램
편견차별 해소를 위한 홍보사업
- TV드라마 제작
- 대중매체 홍보 - 라디오 공익광고, 온라인 이벤트, 홍보물 제작, 거리캠페인 실시
- 청소년 체혐 교실 운영
- 자원봉사자 육성 프로그램
- 인사담당자 1:1교육프로그램
간병 지원
병원에 입원한 HIV 감염인/환자 중 간병이 필요하나 에이즈에 대한 편견과 차별로 가족 또는 주위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HIV 감염인/환자에게 훈련된 간병인을 무료로 파견
신청 절차
의료기관 담당자가 간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환자에 대하여 (사) 대한에이즈예방협회로 간병신청서 작성 및 제출(신청서는 의료기관 비치 및 유선으로 신청가능)
신청서가 접수되면 사업담당자가 실태조사를 통해 의료진과 면담 후 선정회의를 거쳐 간병인 파견
신청서가 접수되면 사업담당자가 실태조사를 통해 의료진과 면담 후 선정회의를 거쳐 간병인 파견
사업기간
연중실시
간병비 및 감염관리비 지원
요양병원에 입원한 에이즈 환자에게 일정 금액의 간병비 지원 및 입원해 있는 요양병원에 일정 금액의 감염관리비 지원
신청 절차
요양병원의 담당자 또는 보호자(본인)이 (사)대한에이즈예방협회로 신청서류 제출
사업기간
연중실시
간병 지원 관련 문의 및 접수
- 전화번호 : 02-861-5448
- 팩스번호 : 02-859-5440
재가복지
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해 소외되고 심리 및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감염인에게 물품지원, 재가통합돌봄, 상담, 병원동행, 건강점검 등의 일상생활 지원
신청 절차
본인을 포함하여 누구라도 재가복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재가복지신청서를 작성하여 접수(유선으로 신청 가능)
신청서 접수 후 사업담당자가 실태조사를 실시한 후 대상자 선정회의를 거쳐 지원 여부 결정 및 통보
대상자 자격요건
- 기초생활수급대상자
- 65세 이상 독거노인
- 건강을 잃어 근로능력이 없는 감염인
- 가족 등 원조체계가 거의 없거나 부적절한 감염인
- 면력력의 약화로 인하여 기회감염의 우려가 있는 감염인
- 감염 후 충격으로 정서적 심리전 지지가 필요한 감염인
- 전문적인 심리상담의 연계가 필요한 감염인
- * 위 요건에 해당하는 자로써 감염인지원사업 운영매뉴얼의 선정기준표에 의한 고득점자 우선 지원
재가복지 지원내용
- 반찬 및 생필품지원 : 월1회
- 재가통합 돌봄 지원 : 주1~3회
- 상담, 정서지지, 방문상담 : 수시
- 행정지원 (기초생활수급권 및 금융관련) - 수시
- 병원진료동행, 병원방문, 투약정보제공 - 수시
- 지역자원연계 - 수시
사업기간
연중실시
사업관련 문의 및 접수
- 전화번호 : 02-861-4114
- 팩스번호 : 02-859-5440
레드리본센터(지원센터)이용
지원센터 시설 및 연계 자원을 기반으로 에이즈 및 기타 건강 정보,여가/취미활동 및 교육의 장소로 활용하는 한편,
경제적 자립을 위한 자활작업장 등 감염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영
경제적 자립을 위한 자활작업장 등 감염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영
대상 : HIV / AIDS 감염인
- 감염인 단체 온/오프라인 회원
- 재가복지 활동가 및 지원대상자
- 지원센터 방문감염인
감염인 지원 센터 운영 방법
이용 시간 - 연중 상시, 월~금 (09:00~18:00)
단, 국경일 및 공휴일은 휴관
단, 국경일 및 공휴일은 휴관
각 층별 활용 현황
층별 시설을 감염인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개방하고 지속 지원
4층
회의실 및 상담실, 교육실, 시청각실을 겸비한 다용도 활용 공간으로 빔프로젝터와 대형스크린을 갖추어 감염인 커뮤니티 및 단체 등의 회의 및 교육, 세미나, 영화상영 등의 공간으로 활용
6층
사랑방과 컴퓨터 교육실, 재가복지실, 휴게실로 활용하여 컴퓨터 교육 및 이용, 휴식, 상담, TV시청, 비디오시청 등의 감염인 자체운영 공간으로 활용